Product maker로 성장하는 여정

Product maker로 성장하는 여정

​일본어를 모르는데 일본에서 일을 시작할 수 있을까? 낯선 환경에서 어디까지,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? 디자이너에서 데이터 분석가를 거쳐 UX 컨설턴트까지. 프로덕트 메이커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해내며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장하고 있는 한애리 님을 일본 도쿄에서 만났습니다.

🌳 안녕하세요, 한애리입니다. 진정한 Product Maker를 목표로 다양한 커리어를 거쳐 현재는 일본 IBM에서 디지털 경험 디자인 및 전략(Digital Experience Design & Strategy) 분야의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 어떤 직장이나 포지션에서도 근본적인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하며, 고객사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며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습니다.


Scrap1: “다른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저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”


GREE, 5Rocks, IBM Japan 등 지금까지 여러 곳에서 커리어를 쌓아오셨다고요. 지금까지 지나온 커리어 여정을 소개해 주세요.

국내 디자인 에이전시에서 디자이너로 처음 커리어를 시작했어요. 이후 일본으로 넘어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3~4년 정도 일했죠.

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이라는 두 분야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대표 모바일 게임사인 ‘그리’(GREE)의 프로덕트 매니저(이하 PM)로 전직을 했어요. 당시 담당 프로덕트가 33개국에서 서비스되고 있어 국가별로 살펴야 할 데이터가 많았는데요. 2주에 한 번 하던 복잡한 데이터 분석을 매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API를 활용해 사용률, 컨버젼, 리텐션 등 여러 수치를 분석할 수 있는 대시보드 형태의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. 데이터를 다루는 일이 정말 재밌더라고요.

데이터 분석 쪽으로 경험을 더 해보고 싶던 시기에 마침 ‘파이브락스’(5Rocks; 한국 모바일 분석 스타트업으로 2014년 미국 기업 탭조이에 피인수)가 일본 법인을 세우고 관련 역할을 찾고 있어 합류하게 됐어요. 그간 데이터 분석을 전문으로 해온 건 아니다 보니 고객들에게 수치나 대시보드 보는 법을 설명하는 등 데이터 관련 기본적인 업무부터 시작했어요. 동시에 컨설팅이나 콘텐츠 쪽도 다루면서 일본 법인에 필요한 다양한 일을 경험할 수 있었어요.

이후 광고 플랫폼 회사에 다니던 전 직장 리더분이 신규 사업을 함께 해보자고 제안을 주셔서 이직을 하게 됐고, 신사업으로 엔지니어링, 디자인, 앱 개발 등 여러 업무를 참여해봤어요. 그리고 2018년에 IBM으로 옮겨 Senior Management Consultant로 현재까지 일하고 있습니다.

거쳐온 회사도, 직무도 다양해요. 변화의 신호를 무엇으로 보나요?

단순히 ‘이 분야가 뜰 것 같으니까’, ‘이 회사가 월급을 많이 줄 것 같으니까’와 같은 생각으로 옮긴 적은 없어요. 보통 3년 정도는 한 회사에서 맡은 일을 지속했던 편이에요. 일을 하다 보면 새롭게 보이는 일이 있고, 그 분야를 더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시기가 있는데요. 그럴 때 새로운 도전을 선택해 왔어요.

다른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저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. 예컨대 엔지니어링을 할 때도 ‘나는 만들어본 적이 없어서 못 해’가 아니라 ‘애플 제품'처럼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고 해도 결국 사람이 만든 건데 나도 할 수 있어’라는 생각이 드는 거죠. 기본적으로 맨땅에 헤딩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(웃음). 맨땅에 헤딩인데 옆에 보니 이미 맨땅에 헤딩을 끝낸 사람들이 있는 거에요. 그럼 저도 할 수 있다고 보는 거죠. 이런 생각 때문에 다양한 직무에 도전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.

나의 마음가짐과 달리 직무를 전환할 때 현실적인 챌린지는 없었나요?

물론 있었어요. 경력직을 채용할 때는 잘 해낼 것 같은 잠재력보다는 이미 할 수 있는 사람을 선호하잖아요. 그런데 저는 여러 분야에서 조금씩 경험해 봤어도 한 분야의 전문가는 아니잖아요. 연차가 높아질수록 스페셜리티(Speciality)에 대한 질문이 뒤따랐죠. 그래서 얼마나 잠재력이 있는지 ‘증명’하는 데 초점을 맞췄어요. 지원하는 회사의 서비스나 전략 등을 철저히 분석해서 질문 하나를 하더라도 저만의 시선과 고민의 깊이가 담기도록 준비했어요. 단, 해보지 않은 일에 대해 할 수 있다고 포장한 적은 없어요. 이를테면 ‘OO는 해본 적이 없어요. 그런데 △△부분에 관심이 있어요. 여기서는 △△을 어떻게 하고 있나요?’라는 식의 질문을 많이 했어요. 그럼 보통 상대방이 당황하더라고요. 이런 것까지 생각할 수 있는 전문가일 줄 몰랐는데 그런 질문을 던지니까요.

직무 전환을 고민하는 분들께 조언을 해주신다면요?

단순히 급여를 올리거나 직무에 대한 전망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바꾸려는 직무가 내가 ‘즐길 수 있는 일’인지 보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. 전에는 인정받으면서 일했다고 하더라도 직무를 바꾸면 이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고, 더러 무시 당하는 상황도 마주할 수 있어요. 결국 이런 상황을 이기려면 하는 일 자체가 즐거워야 하는 것 같아요. 이를 판단하려면 사전에 단순히 정보를 얻는 것보다 작은 시도라도 직접 경험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.